2025년 KTX·SRT 기차표 예매 취소 수수료 2배인상! 수수료 아끼는 꿀팁 공개

2025년 5월 28일부터 기차표 예매 취소 수수료가 대폭 인상된다는 소식, 들으셨나요? 특히 주말과 공휴일에 KTX나 SRT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새 규정을 꼭 체크해야 합니다. 게다가 부정 승차 벌금도 강화되고, 열차 내 에티켓 위반 시 제재까지 추가돼 철도 이용이 한층 엄격해졌습니다. 새로운 기차표 취소 수수료 체계와 부정승차 벌금, 그리고 수수료를 아끼는 꿀팁을 공유드립니다. 1. 기차표 취소 수수료, 이렇게 바뀝니다! 2025년 5월 28일부터 주말(금~일)과 공휴일 기차표 취소 수수료가 최대 2배 인상 됩니다. 평일(월~목)은 기존 수수료가 유지되니, 주말 여행을 계획 중이라면 아래 표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▶ 주말·공휴일 기차표 취소 수수료 인상 비교표 ◀ 이미지 출처 : 코레일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 KTX를 예매했다가 취소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. 예시) 서울-부산 KTX 일반실 (요금 약 59,800원 기준) 당일 3시간 전 취소 : 기존 2,990원 → 변경 5,980원 출발 직전 취소 : 기존 5,980원 → 변경 11,960원 출발 후 20분 이내 : 기존 8,970원 → 변경 17,940원 ✔️ 월~목 평일은 기존 수수료 그대로! 월~목요일에는 위 표와 상관없이 기존 수수료(400원 또는 요금의 5~15%)가 적용됩니다. ✔️ 왜 이렇게 바뀌었을까? 열차 취소 수수료는 이른바 ‘얌체 예매’가 늘어나면서 도입된 제도인데요. 2인석 전체를 예매한 뒤 출발 직전에 한 좌석만 취소해 혼자 넓게 앉아가려는 경우가 있었습니다. 또 다른 사례로는 여러 좌석을 미리 예매해 놓고, 출발 직전 한 좌석만 남기고 나머지를 모두 취소해 주변 좌석을 비워두는 방식으로 혼자 편하게 이용하려는 경우도 있습니다. 심지어 단거리 구간만 예매한 후, 열차에 탑승한 뒤 장거리 구간으로 바꿔 타 요금 차액을 줄이려는 이용자들도 있다고 합니다. 실제로 이런 경우가 적발되는 건들이 생각보다 많아 실제 필요한 승객이 좌석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...